더좋은나라전략연구소

Issue Letter

윤경병 (서강대학교 로욜라 석학교수) / 종간(種間)의 전쟁과 인류의 미래 1.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5-04-27 08:04 조회71회 댓글0건

본문

 

화학공장의 경우 보통 <반응공정> <분리공정> 조를 이루어 순차적으로 시행된다. 여기서 <분리공정> 등장하는 이유는 원료를 반응기에 주입한 반응시키면 원하는 생성물만 생성되는 아니라 보통 원치않는 부산물들도 함께 생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하는 생성물과 원치않는 부산물들이 함께 섞인 혼합물로부터 원하는 생성물만 추출해 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분리공정> 수반되어야 한다. 화학공장에선 사용되는 총에너지 오직 30%만이 <반응공정> 사용되는 반면 무려 70% <분리공정> 사용된다. <분리공정>  <반응공정> 보다 이상의 에너지를 소모하는 것이다. 그만큼 <분리공정> 어렵고 까다롭기 때문이다.

 

사람의 몸도 사실은 종합 화학공장이다. 사람이 몸을 움직일 때는 물론이고 무언가를 생각할 때에도 속에선 다양한 화학반응 들이 빠른 속도로 일어난다. 따라서 사람들은 몸을 움직일 뿐만 아니라 생각할 때에도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비한다. 특히 나아가야 다양한 방향들을 상상하고, 최종 후보를 선택하게 때까지 수없이 많이 망설이고, 끝없이 반복해서 고뇌하며, 한없이 깊은 생각에 잠길 속에서는 수많은 화학반응들이 진행되므로 순간 엄청나게  많은 양의 에너지가 소모된다.

 

이때 속에서 소모되는 에너지의 양은 격렬한 운동을 몸에서 소모되는 에너지 양과 같거나 이상이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이럴까 저럴까 수없이 망설이며 고뇌할 , 또는 깊은 사색에 빠졌을 어머어마한 양의 에너지를 소비한다.

 

사람들이 사용하는 모든 에너지는 섭취하는 음식에서 나온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행동하며 생각하기 위해 먹이를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먹이확보 본능> 내재된 태어난다. 지구상에 거주하는 전체 인구대비 먹이의 양이 현저히 부족하므로 <먹이확보 본능> <먹이쟁탈 본능> 된다.

 

또한 사람들은 여늬 동물들처럼 <종족보존 본능> 내재되어 태어난다. 사람들이 바람을 피우는 행위도 종의 다변화를 통해 종족보존의 확률을 더욱 높이기 위한 <종족보존 본능> 현상이다. 도덕, 윤리, 양심, 의무, 약속, 정의 심지어는 준법이라는 엄격한 사회적 규범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바람피우는 행위는 더욱 만연할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